– 진짜 중요한 건 ‘비율’입니다
“오메가3를 꾸준히 먹고 있는데, 왜 아무 변화가 없지?”
“관절 통증도 여전하고, 피부도 그대로고… 효과가 없는 걸까?”
그럴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대부분의 경우, “오메가3가 부족해서가 아니라, 오메가6를 너무 많이 먹고 있기 때문” 입니다.
우리는 흔히 ‘오메가3는 착한 지방, 오메가6는 나쁜 지방’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합니다.
하지만 실제로는 이 두 가지는 모두 필수 지방산이고, 우리 몸은 이 두 가지의 균형이 깨질 때 문제를 일으킵니다.
Table of Contents
1. 오메가3 vs 오메가6, 모두 필요하지만 균형이 생명입니다.
항목 | 오메가3 | 오메가6 |
---|---|---|
작용 | 항염 작용 | 염증 반응 유도 |
역할 | 뇌 건강, 심장 보호, 염증 억제 | 면역반응, 상처 회복 |
필요성 | 필수 | 필수 |
문제 | 부족하면 염증 과잉 | 과잉 섭취 시 염증 유발 |
👉 핵심은 ‘누가 이기느냐’가 아니라 ‘비율이 균형 잡히느냐’입니다.
이 두 지방산은 서로 동일한 효소 시스템을 사용해서 작용하기 때문에,
오메가6가 많으면 오메가3의 작용을 막아버립니다.
2. 문제는 오메가6가 너무 많다는 것
현대인의 식단은 오메가6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.
- 식용유 (대두유, 해바라기유, 옥수수유)
- 튀김류, 스낵, 가공식품
- 외식, 배달 음식 대부분
이런 식생활로 인해 오메가6:오메가3 비율이 15:1 ~ 30:1까지 벌어졌습니다.
이상적인 비율은 4:1 이하, 어떤 연구자는 2:1이 최적이라고도 합니다.
👉 아무리 오메가3를 챙겨 먹어도, 오메가6가 너무 많으면 제대로 작용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.
👉 무작정 오메가3만 계속 더 많이 챙겨먹는 것만이 능사가 아닙니다.
3. 균형을 회복하는 방법
✅ 오메가6 줄이기
① 튀김류, 가공식품, 인스턴트 줄이기
오메가6가 과도하게 들어 있는 대표 식품들이 바로 튀김, 과자, 라면, 마요네즈, 햄, 베이컨 같은 가공식품입니다.
이들 식품에는 대부분 대두유, 해바라기유, 옥수수유 등 오메가6가 많은 식용유가 사용됩니다.
📌 실전 팁:
- 주 3회 이상 라면, 튀김, 치킨, 햄을 먹고 있다면 오메가6 과잉일 확률이 높습니다
- 가급적 ‘튀기지 않은’ 메뉴 선택, 과자 대신 견과류나 바나나 등으로 대체
② 식용유 교체하기
집에서 사용하는 식용유는 우리가 매일 조금씩 섭취하는 오메가6의 가장 큰 원천입니다.
특히 기름을 한번 쓰고 재사용하면 산화된 오메가6가 몸에 더 나쁜 영향을 줍니다.
✔️ 추천 대체유:
- 올리브유(엑스트라버진): 항산화 물질 풍부, 오메가9 중심
- 아보카도유: 발연점 높고 조리용으로 적합
- 코코넛오일: 포화지방이지만 안정적이고 적정량 사용 시 OK
🗑️ 그리고, 유통기한 지난 식용유는 무조건 버리세요.
기름은 시간이 지나면 산패되어 몸속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③ 외식 줄이고, 직접 조리하기
외식 메뉴는 대부분 가격 절감 목적의 저렴한 식용유(오메가6 다량 포함)가 사용됩니다.
게다가 튀김유를 반복 재사용하는 곳도 많습니다.
✔️ 실천법:
- 일주일에 2~3회 이상 직접 조리한 식단 확보하기
- 단순 조리라도 재료를 내가 고르고 기름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큰 차이가 납니다.
✅ 오메가3 늘리기
- 등푸른 생선 (고등어, 연어, 정어리 등) 주 2~3회 이상
- rTG형 오메가3 보충제 꾸준히 섭취
- 식사와 함께, 충분한 함량으로 복용
4. 결론
- 오메가3만 챙겨먹는다고 건강을 지킬 수 없습니다.
- 오메가6를 줄이고, 오메가3를 늘리는 것,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효과를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.
5. FAQ
Q. 오메가6를 완전히 끊어야 하나요?
→ 아닙니다. 오메가6도 필수 지방산입니다. 문제는 ‘과잉’입니다.
Q. 오메가6가 많은 식품은 어떤 건가요?
→ 대두유, 해바라기유, 옥수수유, 튀김, 가공식품, 스낵류 등 대부분의 외식 메뉴에 많습니다.
Q. 오메가3를 하루 어느 정도 먹어야 하나요?
→ 일반적으로 EPA+DHA 합산 500~1000mg 이상 권장됩니다. 중성지방 감소 등 치료 목적이라면 더 높은 용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Q. 이거 사실이예요?
→ 사실입니다. 저도 이 사실을 처음 듣고 충격에 빠졌습니다. 과거 2010년경에 ‘SBS 스페셜, 옥수수의 습격’ 이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처음 접한 내용이예요.